[기획자의 시선] 클라이언트의 만족이 전부는 아니다.
브랜드 컨설팅에서 ‘클라이언트가 만족하면 된다’는 논리는 단순명쾌해 보이지만, 그 본질을 깊이 들여다보면 상당히 피상적인 접근이다. 클라이언트의 만족만을 기준으로 삼는다면, 그 과정에서 놓치는 것들이 매우 많아진다. 브랜드 컨설팅은 단순한 대행 서비스가 아니라, 전략적 판단과 창의적 해법을 통해 브랜드를 성공적으로 이끄는 과정이다. 진정한 전문가라면 클라이언트를 단순히 만족시키는 것이 아니라, 클라이언트가 스스로 몰랐던 가능성과 더 나은 방향성을 깨닫게 해주는 데 주력해야 한다.
클라이언트는 종종 자신의 문제를 명확히 정의하지 못하거나, 단기적이고 피상적인 해결책만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브랜드의 로고를 바꿔달라"는 요청은 단기적으로는 만족을 줄 수 있지만, 브랜드 정체성과 장기적 방향성과 부합하지 않는다면 오히려 문제를 심화시킬 수 있다.
컨설턴트의 역할은 클라이언트의 요청 이면에 숨겨진 본질적 문제를 찾아내고, 필요하다면 클라이언트를 설득하여 더 나은 길로 이끄는 것이다. 단순히 클라이언트의 요구를 들어주는 데서 멈춘다면, 컨설턴트는 스스로의 가치를 훼손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컨설팅의 목표는 클라이언트의 만족과 시장 성공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것에 있다.
이는 쉬운 일이 아니다. 때로는 클라이언트의 단기적인 기대를 거슬러야 하며, 설득과 신뢰 구축이라는 긴 여정이 요구된다. 그러나 이런 과정이야말로 컨설턴트로서의 권위와 가치를 확립하는 데 필수적이다.
<기획자의 시선>
프로젝트룸 대표 기획자 노인호의 지극히 개인적인 업계 관찰 & 인사이트 공유 칼럼.
프로젝트룸 대표 기획자 노인호의 지극히 개인적인 업계 관찰 & 인사이트 공유 칼럼.